명예의 전당
블로그 포럼
일반 분류

요즘 티스토리 종료에 대한 글들이 많이 올라오네요;;

컨텐츠 정보

  • 1,238 조회
  • 16 댓글

본문



아직 티스토리를 주력으로 블로그 운영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블로그 주인이 가져가는 수익 만큼 티스토리에서 가져가지 않을까 합니다.


어차피 몇 퍼센트를 가져가는지 공지도 안 되는 상황에서,


저라면 최소 반은 슈킹(?) 할 것 같거든요. ㅋㅋㅋㅋㅋ


그렇게 가져가는 수익이 어마어마 할 거고,


그 수익보다 운영비가 더 나올 때쯤 되어서야 서비스 종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전까지는 다른 대안들(워드프레스, 구글블로그)이 성장할 때까지는 티스토리를 할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ㅎㅎ



관련자료

댓글 16개 / 1페이지

Scotty님의 댓글

이미 적자일 것 같긴합니다. 한국서 트래픽 점유율이 티스가 상당히 높아서 다음에게는 가장 큰 자산이기도 할텐데 돈을 못버니.. 생존싸움을 하겠죠 아마..
부분유료화나 플러그인 인앱상품 같은거 팔아야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유료화유저는 자체광고를 삭제해야할것이고, 무료라이트 유저는 광고를 더 넣어야 할것이고.. 사업기획에서는 시물레이션 돌려서 이런거 고민하겠죠. ㅎㅎ

저는 그냥 유료화했으면 좋겠어요. 유료화계정에는 광고도 뺄야할테니, UTF8 한국어 블로그중에 이렇게 편리한 SaaS서비스는 없다고 생각되긴합니다.

식스센스님의 댓글의 댓글

저도 차라리 월 1만원정도?
내고 유료화로 해도 괜찮을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보통 도메인 구입비용 + 호스트 비용 하면 연 10만원정도는 되지 않나요?
(아주 저렴한걸로 하는거 빼고, 평균치로 잡았을때)

대신 카카오 자체광고 빼고, 지금처럼 저품질도 없애고 ㅎㅎ
그럼 그만큼 수익도 오를테니 월 1만원정도는 괜찮을거 같은데

티스 유저가 몇명이나 될지는 모르겠지만
최소 10만명만 해도 10억이네요.

잘만 되면 유저는 더 늘어날테고, 그만큼 수익도 더 늘어날텐데
지금 자체광고만으로도 10억 이상은 뽑을려나...

Scotty님의 댓글의 댓글

네 저도 찬성입니다. 유료화를 하면 영업능력이 필요할텐데 카카오가 그걸 잘 못할리는 없을듯하고요. 반대로 저희에게는 유료사용에 대한 권리로 자체광고를 다 뺀다는 메리트도 있구요. 유료화하면 정당한 클레임의 목소리를 요구할 수도 있구요.

문제는 공짜로 주던 것을 유료화 할 때에 유저이탈의 붕괴입니다. 정보이용료라는 인식이 열악한 시절이지만, 프리챌의 게시판을 유료화해서 모두 다음카페로 이동하고 프리챌이 붕괴되었습니다. 그런걸 잘 알고있을테니 조심해서 접근하리라 봅니다.
그러면서도 배민같은 양아치 플랫폼 생각하면 또 아무것도 아닌것 같네요 ㅎㅎ

하루300달러님의 댓글의 댓글

제가 카카오면 유료화 안 할 것 같네요. 지금 상태로도 유료화 하는 것 보다 10배 이상 뽑아먹고 있을 것 같은데요?

둘리야님의 댓글

이런 말들이 나오는거 보니 유튜브를 빨리 시작해야 할 때인가 봅니다.
유튜브 플랜은 세웠는데 실행이 쉽지가 않네요. ㅠ,.ㅠ;;;
사실 유튭도 이미 시작하고 있어야 정상인데;;;;;;

식스센스님의 댓글

반까지는 아니지 않을까요?
블로그에 광고 5~6개 달린다고 가정했을때 카카오 광고 1개 가져가는건데

물론 글을 하단까지 꼼꼼하게 보지 않는 이상
상단에 들어가면 그만큼 광고 2~3개만 노출됐을때
피해가 있는건 맞지만
매번 상단에 달리는것도 아니고...

제가 봤을때 많아봐야 30%? 보통 한 20%정도라고 생각되네요.

하루300달러님의 댓글의 댓글

저 같은 경우 상단 광고가 수익의 70~80%를 차지하고 있더라구요. 그렇게 따지면 반 전후는 충분히 뽑아갈 것 같아요.

Scotty님의 댓글의 댓글

저도 수익의 대부분은 상단 몇개가 벌어서 절반정도는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클릭확률까지 생각하면 이상일 수도 있을거고요.
도메인 씌운 블로그는 애드핏이 나옵니다. 그게 무척 아까웠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던 원주소 유입량만 늘리면 자기들 애드센스만 나오게 할 수 는 있을테니까요.

식스센스님의 댓글의 댓글

예전에 CPC때는 확실히 상단 클릭률이 높아서
상단에서 그정도 수익이 난다고 저도 여러군데서 보긴 했는데

CPM이후로도 상단에서만 7~80%가 나오나요?
전 현재 상단이 3~40% 수준인데...

식스센스님의 댓글의 댓글

일단 제 기준에서 보면
현재 시간으로는 상단 25% 정도네요.
보통 밤에 보면 3~40%정도 마무리되긴 하던데...

물론 사람마다 광고갯수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7~80%면 꽤 높네요.

혹시 광고를 상단 위주로 넣으신건지?
다른거 다 빼고 상단 하나만 넣으면 100% 나오는것처럼
7~80% 나온다고 하시는걸로 봐선
광고 종류를 적게 넣으신게 아닐까 싶은데...

하루300달러님의 댓글의 댓글

자동이랑 수동을 다 하고 있고, 수동의 경우 상단에 1개, 하단에 1개만 넣고 있어요. ㅎㅎ

막대기님의 댓글의 댓글

대부분 최상단이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 한다고 하셔서 저도 그런줄 알았는데요, 보고서를 보니 30%정도밖에 안되네요.. 제가 이상한걸까요?ㅎㅎ

식스센스님의 댓글의 댓글

예전 CPC일때는 실제로 상단에서 클릭이 많이 발생했고,
대부분 상단, 중단정도만 광고 달았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 전면광고)

클릭도 거의 안일어나고 로딩속도 느려진다는 이유로
앵커, 사이드바, 하단, 멀티플렉스 등 이런 광고는 안달았죠.
 
유튜브 강의나 카페같은데서도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광고 (상단, 중단) 2개 달아놨고, 그 중 위쪽에 클릭이 많이 발생하니
수익의 대부분은 상단에서 나는게 당연한거고,
그때 저도 들은게 수익의 7~80%는 상단에서 난다 였습니다.

저 역시 올해 1월까지는 주로 상단, 중단만 달고 블로그 운영했었습니다.
(실험해본다고 조금씩 바꾸기도 했지만)

오랜만에 작년 수익을 살펴보니
광고 이것저것 바뀌면서 달려있기는 한데
제 경우도 확실히 6~70%정도는 상단에서 나온게 맞네요.

그러다 2월부터 나름 이래저래 실험해보고 정착한게 위에 스샷인데
더 해보려다가 귀찮아서 일단은 그냥 저대로 가고 있습니다.
사실 2~3%씩 왔다갔다 하긴 하는데 그게 무슨 큰차인가 싶어서 그냥 방치중 ㅎㅎ

근데 CPM으로 바뀐 이후 클릭이 없어도 수익이 발생하고,
요즘은 상단, 중단 달랑 두개만 달고 하는 분은 없지 않나요?

정확히 수익이 어디서 얼만큼 나는지 알아보려면
상단, 중단, 하단, 앵커, 사이드, 멀티플렉스 등
광고를 다 달아놓고 통계를 내야 맞겠죠.

상단 하나만 달아놓으면 상단 100%라고 나올것이고,
저처럼 저렇게 여러개 달아놓으면 분산되서 3~40% 나오는거구요.

막대기님의 댓글의 댓글

저는 상단 중단 앵커 멀티플렉스, 전면하고 있는데, 말씀처럼 광고를 여러군데 배치 하니 최상단 비율이 떨어지는게 맞겠네요.

프리한코딩머신님의 댓글

티스토리도 워드프레스 닷컴에서 워드프레스 구축하는 걸 어려워 하는 사람들에게
도메인하고 호스트 제공 하는 것처럼, 유료화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 희망사항일까요...?
워드프레스 닷컴의 비즈니스모델 따라서 티스토리 운영해주면 좋겠네요.
https://wordpress.com/ko/pricing/

Total 4,897 / 1 Page
번호
제목
이름
회원 설문조사

나는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사이트 통계
  • 현재 접속자 170(1) 명
  • 오늘 방문자 2,493 명
  • 어제 방문자 2,449 명
  • 최대 방문자 7,797 명
  • 전체 방문자 1,207,922 명
  • 전체 회원수 4,027 명
  • 전체 게시물 6,039 개
  • 전체 댓글수 22,77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