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의 전당
블로그 포럼
질문 분류

'글자수세기'와 유사한사이트를 개발했고 운영 중입니다.

컨텐츠 정보

  • 441 조회
  • 15 댓글

본문

'글자수세기'와 유사한 성격의 유틸 사이트를 힘들게 개발했고 운영 중에 있씁니다.

하루 평균 300명 정도가 꾸준히 유입되며, 홍보 등을 통해 키워나갈 생각이긴 한데

페이지 RPM이 $0.8 전후로 채 $1가 안되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제가 궁금한건 원래 이런 류의 사이트는 애드센스 단가가 이렇게 낮은 건가요?


1,000명이 유입되어봐야 애드센스 수입이 천원인데..

굳이 이 사이트를 운영하는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관련자료

댓글 15개 / 1페이지

ripe님의 댓글

네. it 관련 콘텐츠들은 RPM이 낮습니다.
그래도 매번 콘텐츠를 올려서 수익을 얻는 모델보다는 자동화 모델이라는 점에서 높게 평가 드리고 싶습니다.
시간이 돈이니까요.

마요르가님의 댓글의 댓글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는데,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개발자 출신이 아닌 Html을 만질 줄 아는 웹디이다 보니 아래 달아주신 개발 언어는 제가 이해하기엔 힘드네요 ㅠㅠ
알려주신대로 해외를 염두해두고 도메인 선정시 .com으로 하였습니다.
한 1년 정도 운영 중인데 해외 홍보가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ripe님의 댓글

저는 시간을 녹여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블로그 방식의 모델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여 글 쓴 분처럼 자동화 사이트, 일명 머니머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노하우를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대부분의 자동화 모델들은 이미 해외에서 선점된 지 오래이다.
- 동일한 목적, 키워드를 가진 자동화 사이트의 경우, 해외 유저를 타깃으로 할 시 RPM이 보통 4배 이상 상승한다.
- 해외 유저를 공략하려면 도메인이 중요한데, .com으로 EMD나 PMD 아니면 답이 없다.
- 서버 사이드 리소스를 소모하는 방식보다는, 유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렌더링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 및 이론상 모든 리소스를 CDN에 올릴 수 있도록 한다.
- 경쟁 사이트의 공격을 막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cloudflare를 앞단에 둔다.

ripe님의 댓글의 댓글

cdn에 올리는 코드는 주로 js, css, image 등의 리소스들인데, 이건 뭐 cdn에 올리든 서버에서 내려받는 방식이든 다 가져갈 수 있습니다.
보안을 요하는 코드는 백엔드 단에서 처리를 하며 cdn에 올리는 구조가 아닐 텐데, 이 부분은 브라우저에서 코드를 보지 못합니다.
저의 경우 asp.net으로 백엔드는 c#, c++ 이용해서 작성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cdn에는 js, css, svg 파일들만 올려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ripe님의 댓글의 댓글

제가 머니 머신을 또 하나 만든다면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만들겠습니다.
1. base64 인코딩, 디코딩 해주는 웹 사이트를 만들어보자
2. 모든 작업은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여 서비스하는 웹 서버 리소스와 트래픽을 최소화 하는 것을 기존으로 한다.
3. base64에 대한 기술 자료는 아래를 참고한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20249/base64-encoding-and-decoding-in-client-side-javascript
4. 도메인에 "base64", "decode", "encode"가 들어간 .com 도메인을 구한다.
5. SEO에 맞게 사이트를 제작 및 서비스
6. 자. 이론상 더 이상 내 시간을 들이지 않는 머니 머신 완성!
  한번 제대로 구축해 놓으면 매일 콘텐츠를 작성하여 올리는 모델과는 달리 내 시간을 소모할 일이 없다.
  ( 하지만! 웹 사이트 홍보 방법은 알아서. 이 부분이 가장 어렵습니다. )

ripe님의 댓글의 댓글

참고로 CDN은 저의 경우 AWS(S3 + CloudFront)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직접 만들어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성능도 만족하고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POSIEND님의 댓글의 댓글

확실히 이런 것들은 해외에서 다 선점했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base64encode.com이나 base64encode.org는 이미 다 운영되고 있군요.
netlify 같은 호스팅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요? 직접 서버를 만드는 것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 럭키포인트 당첨!

ripe님의 댓글의 댓글

네. 웬만한 것들은 이미 에드센스가 나오기 전 해외에서도 선점된 상태입니다.
선점된 아이템을 가지고 굳이 해야 한다면, 우선 한국어에 최적화된 다국어 사이트를 만들고, 한국어 키워드부터 잠식해서 트래픽을 얻어 영문 키워드 순위까지 올리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물론 당연히 돈이 들겠지만 도메인은 필수적으로 .com 기반 EMD여야겠죠.

저는 자체적으로 인텔 13세대 i9 기반인 하드웨어에서 윈도우 2022서버로 서비스를 돌리고 있습니다.
망은 목동 IDC KT 코로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자체적으로 하드웨어 제작 + 서버 운영하는 것의 가장 큰 장점은 자유도, 최적화, 비용입니다.
단점은, 혼자서 할 경우 하드웨어부터 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까지 모든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Total 4,945 / 1 Page
번호
제목
이름
회원 설문조사

나는 광고 차단 프로그램을

사이트 통계
  • 현재 접속자 48 명
  • 오늘 방문자 577 명
  • 어제 방문자 2,144 명
  • 최대 방문자 7,797 명
  • 전체 방문자 1,230,820 명
  • 전체 회원수 4,078 명
  • 전체 게시물 6,089 개
  • 전체 댓글수 23,081 개